통신을 도와주는 네트워크 주요 기술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NAPT,PAT)
- IP 주소를 다른 IP주소로 변환해 라우팅을 원할히 해주는 기술
- 사설 IP주소를 공인 IP로 전환하는 경우에 NAT를 가장 자주 사용함
NAT 필요성
IPv4 주소 고갈 문제 : 외부에는 공인 IP로 보이지만 내부에는 사설 IP체계를 사용
보안 강화 : 사내 사설 IP 주소 체계를 숨길 수 있다.
IP 주소 체계가 같은 두 개의 네트워크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준다. 사내 IP가 겹치는 경우 , IP대역이 같은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함 (Double Nat 기술)
불필요한 설정 변경을 줄일 수 있다.
KISA를 통해 인터넷 독립기관으로 직접 등록하고 소유한 IP주소를 직접 운영하는게 아니라면 통신사업자나 IDC 쪽에서 IP를 할당받아 사용하게 되고 , IP주소가 중간에 변경될 수 있다.
NAT 기술을 사용하면 내부 사설 IP체계를 유지하면서 공인 IP만 독립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NAT 동작 방식
NAT 내부 사용자는 웹 서버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자의 IP주소와 포트번호를 3,4계층 헤더에 넣어 패킷을 보낸다.
NAT 역할을 수행하는 장비에서 사용자가 보낸 패킷을 받아, NAT 정책에 따라 공인 IP주소로 변경한다.
NAT 장비에서 변경 전후의 IP주소는 NAT 테이블에 저장된다.웹 서버는 NAT가 변경한 공인 IP주소로 응답을 보낸다.
NAT 장비는 NAT 테이블을 보고 사용자의 원래 IP주소로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패킷을 전달한다.
PAT 동작 방식
- NAT 동작 방식과 동일하나 ,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공인 IP 주소로 변환되야 하므로 출발지의 IP주소뿐 아니라 Port 번호도 변경하여 NAT 테이블에 저장한다.
- 웹서버가 변경된 공인 IP주소와 변경된 Port번호로 응답한다.
- NAT 장비는 NAT 테이블을 보고 사용자의 원래 IP주소와 Port 번호로 패킷을 재작성하여 사용자에게 패킷을 전달한다.
- PAT는 다수의 IP가 있는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갈때 IP주소,포트번호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NAT 테이블이 생성되고, 응답에 대해 NAT 테이블이 원래 사용자를 식별한다.
- 반대로 PAT IP가 목적지일때에는 해당 IP가 어느 IP에 binding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NAT 테이블이 없으므로 사용할 수 없다.